; 05 / 16 채권 골드 지수 유가 통화 마감시황 > 자유게시판 | 해외선물 해선커뮤니티
05 / 16 채권 골드 지수 유가 통화 마감시황
작성자 엘레강스강
" 다시 부채한도 협상 회동, 디폴트 위기 고조 "

 

나스닥 선물 13464.00(+0.51%)
크루드 오일 71.30(+1.80%)
금 선물 2021.4(+0.08%)
NDF 1332.95

 

▶통화
- 글로벌 달러는 美 채무불이행(디폴트) 불안감 우려가 커지면서 약세.
- 미국 부채한도 협상 관련하여 낙관적인 방향으로 시장 분위기가 움직이면서 하방 작용.
- 또한 지난주 3월 이후 가장 강력한 달러 상승 랠리를 펼친 바에 따른 이익 실현 매물도 출회되면서 하방 압력.
▶지수
- 美 3대 지수는 부채한도 협상이 최대 이슈로 부상하면서 좁은 범위에서 제한적인 관망 장세를 보이며 상승함.
- 금일(16일)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 다시 추가 논의하기 위해 회동하기로 하면서 시장의 모든 시선이 집중.
- 장 후반, 바이든 대통령에 협상 낙관론이 힘이 실리면서 투자심리 일부 개선되며 상방 작용.
- 만약, 이번 주 내 합의안이 나오지 않으면, 디폴트에 대한 공포는 더욱더 커질 것으로 예상. (NQ +0.51%, ES +0.26%, YM +0.09%)

 

▶유가
- 국제유가는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낙관론과 美 전략비축유 재매입 계획이 유가를 지지하면서 상승,
- 바이든 대통령, 부채한도 협상에 대해 낙관한다고 밝히면서 기대감에 상방 작용.
- 그러나 부채한도 협상 지연되면서 6월 초 디폴트 위험과 지역 은행권에 대한 우려 등이 경기 침체 위험도를 높이면서 상승 폭 제한.

 

▶골드
- 금 선물은 부채 한도 상향을 두고 정치적 힘겨루기에 따른 디폴트 위협에 안전자산인 금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소폭 상승.
- 다만, 지난주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진 가운데. 연준 인사들에 매파적인 발언들이 상승 폭 제한.

 

▶채권
- 美 국채 수익률은 제조업지수가 시장 예상치 보다도 휠씬 더 악화되었다는 소식에 일제히 상승.
- 엠파이어스테이트 지수가 2020년 4월 팬데믹 사태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폭락하면서 회사채 매도 물량 유입.
- 또한, 부채한도 협상 난항과 연방정부의 현금 고갈되는 6월 초가 다가오면서 시장 전반에 디폴트에 대한 불안감 확대되면서 채권 매도가 꾸준히 유입됨.
-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물 수익률은 +0.85bp 상승한 4.0042%,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+3.85bp 상승한 3.5066%를 기록함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총 게시물 5,843 개, 페이지 176 글쓰기
제목 작성자
금리인상후나스닥항셍개박살 (1) H 장태*
익절은 어디서 배워요 ㅋ? (1) H 희희*
대폭락 이제 스타트 하나요~~~~ H 워커*
요즘 코인이 괜찮다면서? (1) H 신자
항셍은 하락이고 나스닥은 상승이고 H st*
★오늘의 여자★ H qu*
나스닥은 위에서 놀아버리네 ㅋ H 미미*
골드에시대가온다와 H 마마*
오전 항셍 870수익 퇴근합니당 ㅎ (2) H 상으*
현물은 하락? 나스닥은 상승? H 이천*
빅테크옵니다 H 지지*
cpi 빔 쏜다 ㅋㅋㅋㅋㅋ H 점쟁*
띡띠기는 웁니다 (1) H 스닥
지지선 뚫고 가즈아 H 라이*
오일롱인가? (1) H 고속*
게시물 검색